무대음향2 – 1장 무대음향

1-1 스테이지 사운드

정당성 :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소리모든 것을 묘사하다전문 분야

소리의 목적은 청중에게 정확하고 예술적으로 그리고 조화롭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현대 무대 사운드 : 전기음향장치를 이용한 공연장 내 모든 소음 종합평가기술적으로전문 분야

무대 음향 전문가 1~2명

공연장에서 무대 음향 엔지니어는 각 공연의 음향 특성에 따라 음향 장비를 운용해야 합니다.
.

단 한 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 라이브 상황의 사운드에 대처하기, 가장 자연스러운 소리를 위한 노력.

역할 : 소리 증폭, 기록, 공지사항 및 관련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 / 관리 등 전기음향 및 건축음향 전반에 적용 가능한 음향반사판 운영 / 공연 중 공연 관계자 간 소통을 위한 소통 수단 운용

분할 : 사운드 엔지니어, 사운드 오퍼레이터, 사운드 디자이너(삼가지로 나누어)

사운드 엔지니어 : 공연장 각종 음향기기 점검, 보살피다, 관리 및 설치

사운드 오퍼레이터 : 음향디자이너의 지시에 따라 공연에 필요한 음향기술의 설치 및 운용, 일반적으로 사운드 엔지니어의 작업을 지원합니다.

사운드 디자이너 : 공연과 관련하여 최상의 음향 결과를 얻기 위해 공연장 내 모든 음향 시스템을 운영하는 총책임자. 또한 음향 시스템을 설계하고 공연과 관련된 음향 자료를 제작합니다.
.

1-3 무대음향전문가의 자격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예리하고 정확한 청각이 필요합니다.

공연예술 전반에 대한 상식과 예술적 감각, 상상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1-4 성취감을 얻기 위한 문해력의 발달

다양한 문화 형태미술책을 읽다, 콘서트 및 다양한 음악 감상, 오페라, 극장, 등 공연예술과 관련된 지식과 예술적 감각을 함양한다.
나. 댄스 등 공연 관람.

관객과 연주자는 공연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평가는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기준적이고 객관화된 감각이어야 한다.
.

1-5 음악감각을 키우는 문해력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많이 들어야 합니다.
.

악보를 읽을 수 있다. (곡의 흐름과 분위기를 이해하는 정도)

1-6 공연기기 취급 기본기의 발달

장비 사용 및 작동 방법에 대한 지식

변화에 대해 빠르게 배우고 지식을 쌓는 것이 필요합니다.

1-7 음감 및 표현 훈련

끊임없는 훈련과 연습을 통해 예민한 귀를 가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일반인이 내는 소리의 다양한 발화를 해석하고 정량적으로 표시되는 물리적 소리 매개변수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음압 레벨, 빈도, 소리에 대한 감각 훈련 필요)

음향 평가 교육 : 음색과 스펙트럼의 관계 듣기 (다른 필터등가, 특정 주파수 대역이 강조될 때 톤이 어떻게 변하는지 실험하여 감을 잡아야 합니다.
)

1-8 사운드 등급

전반적인 음향 평가는 무대 음향 전문가의 입장이 아닌 관객의 입장에서 판단해야 한다.
.

1-9 청취 및 무대 음향 전문가

청력 손실은 최소 청력 한계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귀의 둔감화)

청력 손실이 있으면 소리의 균형이 흐트러집니다.
평형 장치미세 조정에 문제가 있습니다.
.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균형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