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백만년 동안 책을 읽지 않았다.
무언가를 사러 서점을 돌아다니다가 재미삼아 소설을 하나 골라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딱히 마음에 드는 것이 없어서 뒤를 돌아보았다.
그러던 중 독서광인 동생의 책장에서 눈에 띄는 두 권의 책이 있었다.
그들 중 한 명이 그녀를 죽였고, 나는 그를 죽였습니다.
나란히 놓인 이 책들은 흥미롭기 때문에 먼저 한 권을 가져가겠습니다.
히가시노 케이고라…
사실 시리즈의 1권은 누가 그녀를 죽였는지, 2권은 그녀를 죽인 범인의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별개의 소설이었다.
글쎄, 두 번째 제목은 내가 “그”를 죽였어. 하지만 내가 잘못 읽었나봐.
책 표지의 서평에 출간 후 범인에 대한 문의가 쇄도!
!
라는 말이 있지만, 따지고 보면 범인을 밝히지 않고 독자의 영역으로 전달하는 스타일인 것 같다.
그래서 꼼꼼히 읽어봤습니다.
사실 셜록 홈즈처럼 유부남의 증거를 발견하고, 추론하고, 보는 사람이 아, 그렇구나, 대단하다 하는 사람보다 훨씬 낫다.
적당히 사실적인 수준에서 사건을 처리하고 시청자에게 논쟁을 할 수 있는 모든 단서를 제공하는 재미…
어떤 사람들은 이 방법 자체가 독특하다고 말하지만, 사실 저는 세 명의 용의자가 나오는 한국 소설을 읽었습니다.
결국 범인이 밝혀지지 않아 답답함에 책을 버렸지만 지금처럼 인터넷이 발달했더라면 찾아봤을 것이다.
책 제목도 기억이 안나네요…
여하튼 다음은 이 책을 읽고 난 내 나름의 추론이고 다른 대안은 없다고 생각한다.
뻔하니까요… 스포일러이니 안 읽으신 분은 읽지 마세요.
범죄자
마지막에 야스마사가 납득한 부분만 주목하면 되니 꽤 쉽다.
가가 형사가 가져간 증거물인 쓰레기통 속 빈 약봉지. 유바 카요코에게 먹게 했을 때 찢어진 약봉지(장미와 함께 쓰레기통에 던져진 것)였을 것이다.
먼저 상황을 간단히 요약하면, 그림을 그리기 위해 거짓 알리바이를 만들었을 때 준이치가 소노코의 집에 왔다.
그리고 수면제로 재우기까지 했다.
그때, 유바 카요코가 플라스틱 넥타이를 매고 들어오고, 두 사람은 살인을 깨고 돌아온다.
준이치는 오전 1시 알리바이 약속 장소에 먼저 갔고, 카요코는 뒤에 남아 정리하고 떠났다.
이튿날 아침 두 사람이 함께 돌아왔을 때 소노코는 죽어 있었다.
소노코가 깨어나 자살했거나, 유바가 카요코를 죽이고 떠났거나, 준이치가 새벽에 돌아와 범행을 저질렀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카요코가 연 약봉지로 어떻게 범인을 특정할 수 있었을까?
소노코 살해 현장에서 수면제 2봉지가 발견됐다.
하나는 주로 준이치가 가짜 자살을 위해 소노코에게 주었고, 두 번째는 가해자(또는 자살의 경우 소노코)가 먹었습니다.
준이치가 열었기 때문에 약봉지가 오른손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두 번째 약 주머니의 균열이 왼손잡이임을 나타내는 경우 Sonoko가 자살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야스마사는 범인을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두 번째 약봉지는 오른손잡이의 소행임에 틀림없다.
그렇다면 자살이 아니라 살인인데 카요코나 준이치는 어떻게 판단할까?
야스마사는 약봉투를 열어본 카요코가 왼손잡이임을 눈치챘다.
소노코의 장례식장에 왔을 때 카요코는 조문 봉투에 오른손으로 글을 썼다고 한다.
그래서 눈치채지 못했는데 약봉지를 열어보니 나왔다.
소노코와 마찬가지로 오른손으로만 쓰도록 교정된 타입이다.
따라서 현장에 남겨진 약봉지 2개는 오른손잡이가 열어보았으나 실제 오른손잡이는 준이치 혼자뿐이어서 범인으로 확인됐다.
가요코가 왼손잡이가 아니었다면 둘 중 누가 범인인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것이다.
결국 준이치는 다시 돌아와 소노코를 죽이고 카요코를 속여 카요코를 선택하게 하는데… 소노코가 악행으로 마음을 바꾼 것을 알면서도 결국 살인을 저지른 이유는 무엇일까? 씁쓸한 결말이다
1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