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교 (단편)

독실한 기독교인 부모에게서 한 아이가 태어났습니다.
그 아이는 종교적 의미가 담긴 이름과 어머니의 신앙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태어났다.
부모님은 늘 목사님의 은혜로운 이름과 모성신앙의 칭호를 자랑스럽게 여기셨다.

아이는 8살 때 부모의 계획대로 기독교 학교에 들어가 주말마다 교회에 갔다.
매주 교회에서 찬송가를 부르고, 또래들과 어울리고, 성경을 공부했습니다.
주중에는 기독교 학교 강당에서, 주말에는 교회에서 목사님의 설교를 들으며 성경을 읽고 공부하는 것이 아이의 일상이었다.

아이가 중학교에 들어갈 무렵에는 교회와 기독교 학교에서 성경 읽기가 흔한 숙제였다.
그러나 중학생이 되었을 때 다시 읽던 성경은 아이가 이해하기에는 너무 잔인하고 폭력적이며 무섭게 느껴졌습니다.
동물과 인간의 희생, 가신 살인은 흔한 일이었고 다양한 대격변으로 인류를 몰살시키는 신들은 그 자체로 공포 이야기였습니다.

도대체 성경이 왜 그렇게 폭력적인가?

부모님께 여쭤봤지만 대답은 늘 모호했다.
상징적인 의미가 있지만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됩니다.
아직 중학생인 아이는 아직도 이해하지 못했다.

아이가 중학교 2학년이 되었을 때 갑자기 부모님이 사라졌다.
한 명은 해외에서 종교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다른 한 명에 대한 소식은 완전히 끊긴 상태다.

아이는 당연히 친할머니에게 맡겨졌다.
상징적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 답답했습니다.
그 아이는 여전히 성경에 대해 많은 질문을 가지고 있었지만 질문할 사람이 없었습니다.

불행히도 할머니는 불교 신자였습니다.

아이는 포기했다.
성경을 더 알고 싶다는 생각이 사라졌습니다.

약 3,000년 전에 사람들은 자신이 훨씬 덜 과학적이고 지능적이기 때문에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 아이는 이제 성서 책 대신 만화책을 듣고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