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이돌 개요
1990년대 후반에 데뷔해 현재도 폭발적인 인기와 엄청난 팬덤으로 활동 중인 보이그룹 걸그룹을 일컫는다.
1990년대까지는 ‘아이돌’, ‘그룹’이라는 단어 자체가 모호했다.
그 당시에는 솔로 가수들이 꽤 유행했고, 그룹들은 밤 무대에서 잠깐 활동할 뿐이었다.
한국 아이돌의 역사는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돼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아이돌은 팬들에게 설렘과 즐거움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 현상이 되었습니다.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이 데뷔하면서 그룹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했고 듀스, 노이즈, 레프, 솔리드 등 여러 보이그룹이 팬층을 형성했다.
1996년 2월 서태지와 아이들이 떠나면서 아이돌이 데뷔해 10대들의 호응을 얻었고, 같은 해 9월에는 HOT가 데뷔해 10대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으며 ‘아이돌’ 문화를 만들었다.
이후 1997년 4월 데뷔한 식스 키즈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1세대 보이그룹의 양대산맥을 형성했다.
걸그룹도 진화했지만 걸그룹의 경우 그때까지만 해도 남성그룹에 비해 지위가 낮았다.
대부분 친목 무대를 하거나 짧은 시간 동안 활동하고 잊혀졌는데, HOT가 데뷔한 지 약 1년 후인 1997년 11월 SM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SES는 HOT 남성 팬들을 데뷔시킨 소속사의 지원을 받아 소녀시대를 탄생시켰다.
그룹 문화. 는 이듬해 4월 대성엔터테인먼트 소속으로 데뷔한 걸그룹 핑클과 라이벌 관계를 맺었다.
신화는 1998년, 갓은 1999년 데뷔했고 두 그룹은 라이벌이기도 했다.
2. 1세대 아이돌(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1세대 아이돌은 보이그룹, 걸그룹, 때론 혼성그룹으로 분류되지만 이런 경우는 드물다.
2-1 보이그룹 (HOT, 식스키스, 신화, 갓)
더운
활동기간은 1996년 9월부터 2001년 2월 말까지(27일)이다.
멤버는 문희준, 강타, 토니안, 장우혁, 이재원이다.
1996년 9월 1집 앨범과 함께
원래는 HOT 약자 High Five Of Tenneagers와 같은 10대 그룹이었는데, 멤버들이 20대가 되었을 때 등급제 역할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캔디의 빅히트 이후 팬들의 반발을 우려해 팬층이 확대되고 팬도 늘어났다.
이후 주제가는
1997년에만 4개의 아이템을 손에 넣었다.
KBS 가요대상에서는 임창정에게 밀리며 대상 수상에 실패했고, 지상파 트리플크라운 달성에도 실패했다.
주제가
그때는 그야말로 HOT의 시대였다.
드림콘서트, 환경콘서트, 주경기장 012콘서트 등 3층은 늘 하얀색 열기구로 가득 찼다.
1999년 드림콘서트에는 무려 12만 명의 팬들이 모였다.
이때 현지 팬들이 전세 낸 버스는 300대가 넘었다.
HOT에 대한 기대는 타이틀곡이 나왔을 때 이미 정점을 찍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노래
2000년대 초반 라이벌 그룹 식스 키스가 2000년 5월 해체되면서 HOT도 결별설에 휘말리기 시작했다.
이를 극복하듯 2000년 10월 정규 5집을 발매한다.
이날 주경기장 콘서트에는 10만 명 이상의 팬들이 몰려들었고 서울지하철은 운행을 연장했다.
여섯 자갈
활동기간은 1997년 4월부터 2000년 5월까지. DSP미디어(당시 대성기획)로 데뷔.
멤버는 은지원, 이재진, 김재덕, 장수원, 강성훈, 고지용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4명만 남았다.
HOT는 데뷔 7개월 만인 1997년 4월 1집 앨범으로 데뷔했다.
동명의 타이틀곡
이 시기부터 HOT와의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1997년 12월 주제가를 받았다.
그리고 주제가와 함께
1999년 9월 HOT과 동시 컴백을 자축하며 4집 앨범을 발매했다.
2000년대 초반 2000년 5월 18일 갑작스러운 결별 기자회견은 많은 팬들과 대중을 충격에 빠뜨렸다.
팬들은 해산에 항의하고 반발했지만 어느 누구도 미성년자들의 의견을 귀담아 듣지 않았고 결국 2000년 5월 20일 드림콘서트 무대를 통해 3년 1개월의 짧고 용감한 활동을 예정대로 마감했다.
. .
이후 멤버들은 각자 솔로 활동을 펼쳤지만 은지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눈에 띄지 않았다.
고지용은 연예계를 떠나 사업가로 전향했다.
신화학
1998년 SM 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한 에릭, 신혜성, 이민우, 전진, 김동완, 앤디의 6인조 멤버이다.
2003년 7월 굿엔터테인먼트에 합류해 2011년 신화컴퍼니를 설립했다.
데뷔 이후 그룹 해체나 멤버 이탈, 교체가 한 번도 없었던 국내 최장수 아이돌 그룹. 2017년 기준 정규 앨범 13장, 비정규 앨범 7장을 발매하며 국내 무용단 정규 앨범 최다 발매 기록을 세웠다.
앨범 판매량은 정규 싱글을 포함해 총 3조 2036억 9,500만장으로 일본에서는 10만장을 돌파한 앨범이 2장, 60만장을 돌파한 앨범이 총 6장이다.
1999년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전성기로 꼽히는 시기는 2004~2005년이다.
1990년대 후반 정점을 찍은 HOT와 Six Kies가 1세대 런처였고, 2000년대 초반에도 HOT와 jtL은 여전히 팬덤 10위권에 있었고 God, jtL, NRG와 함께 인기는 계속됐다.
신화는 2000년대 중반 전성기를 맞았다.
신화는 HOT의 영향으로 신비로운 소년들이 주류를 이루던 1세대 아이돌 붐 시장에서 강한 남성성과 탈신비주의, 멋진 댄스 음악을 내세워 차별화를 꾀했다.
1세대 아이돌 그룹은 수명이 고작 3~5년인데도 해체하는 경우가 있는데, 신화는 데뷔 7년차인 2004년 가요대상을 수상하며 전성기를 맞았고, 지난 20년간 통산 15년 강아지의 현란한 노래가 음악방송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는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에서 단독 콘서트를 여는 몇 안 되는 국내 가수 중 한 명이기도 하다.
‘따로 또 같이’라는 이름으로 개별 아이돌 활동의 일반화를 이끈 그룹이다.
그룹과 개인 활동을 결합한 최초의 아이돌 그룹이자 개인 활동으로 대박을 터뜨린 몇 안되는 아이돌 그룹 중 하나. 아이돌 그룹 멤버들의 개인 활동이 용납되지 않던 시절, 멤버들은 일찍이 솔로 앨범, 예능, 드라마, 광고 등 다양한 예능 영역에서 미디어 활동을 선보이며 성공을 거뒀다.
하나님
싸이더스HQ 소속으로 1999년 1월 13일 데뷔한 대한민국의 5인조 보이그룹이다.
JYP(박진영)가 정규 6집부터 JYP엔터테인먼트와 공동 프로듀싱 및 전속계약을 체결했다.
2014년 5월 8일, 완전체로 컴백하던 이들은 첫 소속사 싸이더스HQ로 컴백했다.
멤버는 박준형, 윤계상, 데니안, 손호영, 김태우 5명이다.
신비로운 콘셉트가 유행하던 시절, 아이돌의 주 소비층인 10대를 비롯해 전 연령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그룹이었으니, 그들이 편히 쉴 수 있는 국민 아이돌 그룹 1위가 된 것도 당연하다.
청춘이라는 평범한 콘셉트로 대중에게 다가갔다.
1990년대 후반에 HOT가 있었다면 2000년대 초반에는 신이 보이그룹의 선두에 있었다.
2000년 3집 184만 장, 2001년 4집 171만 장 이상을 판매하며 방송 3사 가요대상을 석권했다.
2002년에는 ‘인간의 100일 콘서트’라는 주제로 100회 공연이 연일 매진을 기록하며 공연계의 이정표를 세웠다.
2000년과 2001년에는 ‘게릴라 콘서트’에 참가해 각각 11406명, 18521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특히 2001년에는 하나님께서 친히 태극기를 들여오셔서 목표인원을 16,000명으로 정하셨지만 사상 최대의 관객을 모았으니 그때가 전성기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곡으로는 Dear Mother, Observation, Love and Remember, Sadness, Friday Night, Lie, One Candle, Blue Balloon, Road, Where You Should Be, Again, Letter, 0%, Ordinary Day, Why Opposites Attract, 2♡, The 미운 오리 새끼와 하늘색 약속.
걸그룹 2~2명(SES, 핑클, 베이비복스)
SES
한국 가수로는 3인조로 구성된 걸그룹이다.
구성 멤버로는 바다, 유진, 슈가 있다.
1997년 11월 28일 금요일 오후 6시 10분 데뷔 <('Cause) I'm Your Girl> SBS 음악 프로그램 ‘라이브 충전 100%쇼’에 출연했다.
국내 아이돌 산업의 선두주자이자 메이저 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가 야심차게 가요 시장에 선보이는 걸그룹이기도 하다.
수식어 없이 “한국 걸그룹의 역사는 SES에서 시작됐다”. 한 단어로 정의할 수 있는 그룹입니다.
걸그룹 역사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만큼 크다.
최초의 여성 아이돌 그룹이자 최초의 K팝 걸그룹이다.
국내외를 무대로 활동하는 기존 K-POP 걸그룹의 시작을 알린 그룹으로, K-POP 걸그룹을 다수 배출한 만큼 이들의 탄생은 한국 대중음악사에 기념비적인 사건이다.
데뷔와 동시에 엄청난 컬쳐쇼크를 일으켰다.
신드롬, 센세이션이라 불릴 만큼 데뷔 이후 가요계의 흐름을 바꾼 문화 현상을 만들어냈다.
SES의 등장으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소비자 집단이 음악 시장에 등장하면서 한국 대중음악의 상업화를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즉, 타이틀 걸의 잠재적인 상업적 가치를 최초로 입증한 걸그룹으로서 가요계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며 판도를 바꾸었다.
걸그룹 최초로 ‘가요계 요정’, ‘문화상품’, ‘아시아를 대표하는 그룹’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것만으로도 당시 이들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다.
또한 SES는 데뷔와 동시에 언론에서 ‘신드롬’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걸그룹에 ‘신드롬’이라는 용어가 언론에서 사용된 것은 처음이다(7)(8). 당시 이들의 인기는 그 자체로 하나의 문화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핑클
대성기획(現 DSP미디어) 소속으로 이효리, 옥주현, 이진, 성유리가 소속되어 있다.
1998년 5월 17일 SBS 인기가요를 통해 첫 공식 음악방송 데뷔를 하고 R&B 발라드곡 블루레인(Blue Rain)으로 라이브 무대에 데뷔했다.
차별화를 위해 R&B 그룹으로 출발했지만 걸그룹으로서는 부족함을 느껴 후속곡 ‘남자친구에게’는 청순한 미모와 뮤직비디오가 인기를 얻으며 순조롭게 출발했다.
최고 순위는 SBS 인기가요 2위(1위 후보), MBC 뮤직캠프 2위였다.
29만 장의 앨범을 판매하며 차세대 인기 가수로 등극한 것은 신인으로서는 괄목할 만한 성과다.
약 1년여 후, 올림픽 체조경기장에서 공식 팬클럽 창단식을 마치고 5월 두 번째 앨범을 발매한다.
핑클을 모르면 첩자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 노래는 말 그대로 대박을 터뜨리며 많은 남성 팬들을 모았고 완벽한 트렌딩으로 치솟았다.
새끼손가락을 접고 “약속해”라고 말하는 포즈와 두 팔을 빙글빙글 돌리는 안무가 따라하기 쉬워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 메가 히트작이다.
당시 남성 아이돌 그룹의 극팬이었던 여성들은 질투심이 컸지만 그들을 욕하는 이들조차 교실에서, 장기자랑에서, 축제에서, 또는 수학 여행.
타이틀곡 ‘영원한 사랑’이 메가 히트를 기록할 수 있었던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우선 귀여운 콘셉트와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조화시켜 요정 콘셉트의 정점에 도달한 것이 주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전작 ‘남자친구에게’의 옆집 예쁜 소녀 이미지의 연장선인 곡으로, 이 곡으로 큰 인기를 얻은 핑클에 이 곡의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여기에 루비에게서 얻은 청순한 이미지를 매치했고, 항상 내 곁에 있어 달라는 고백 문자부터 청순함을 극대화한 화이트 드레스와 잔잔한 안무 그리고 전작의 포인트인 ‘약속해’라는 곡이 탄생했다.
뮤직비디오의 배경과 성유리의 월계관, 요정의 이미지를 한 곡에 담았고, 귀여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4분짜리 곡으로 압축했다.
Fin.KL은 그 신선한 느낌을 아주 잘 살렸습니다.
베이비 복스
1997년 7월 3일 DR뮤직에서 데뷔한 5인조 대한민국 걸그룹이다.
멤버 변경이 있었지만 지금은 심은진, 이희진, 김지지, 윤은혜, 간미연으로 알고 있다.
그룹명 Baby Vox의 의미는 Baby Voice Of eXpression입니다.
SES, 핑클, D.Va보다 먼저 데뷔한 선배 그룹이다.
베이비복스의 완전체 그룹은 21세기에 유일하게 완전체 아이돌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멤버는 다른 1세대 멤버들에게서 볼 수 없는 노래, 춤, 랩 파트를 담당합니다.
1세대 아이돌 중 최장기간 활동했다.
1997년 1집 정규앨범으로 데뷔
1집부터 3집까지 세 번의 멤버 교체가 있었다.
중국과 태국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팬덤을 형성한 1세대 여성 한류 그룹이다.
베이비복스 팬덤 ‘베이비엔젤스’의 공식 팬클럽으로 아이콘 색상(풍선색상)은 핑크색이다.
1999년 7월 베이비복스는 타이틀곡과 함께 섹시한 안무와 섹시한 분위기의 두 번째 앨범에서 몸집이 작은 소녀에서 성숙한 여인으로 변신했습니다.
당시 마이너 그룹이라 혹평도 있었지만 15만 장 이상의 앨범이 선주문을 기록하며 전작보다 좋은 반응을 얻었다.
데뷔 2년 1개월 만인 지난 3일 3집 발매 후 앨범으로 KBS 뮤직뱅크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나중에 멤버들이 이걸 골라
당시 모든 걸그룹은 요정 이미지로 어필했지만, 베이비복스는 파워풀한 댄스와 섹시한 의상으로 걸그룹계의 새로운 블루오션을 열었다.
요정 콘셉트에서 섹시 콘셉트로의 전환은 2010년대 걸그룹의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다.
Baby Vox는 이 성공의 길을 처음으로 택했습니다.
성공적으로 마친 후
당시로서는 생소한 보이시한 콘셉트로 퍼포먼스를 선보인 심은진은 여성 팬들의 환호를 받으며 팀의 마스코트가 됐다.
1990년대 중반 보이시한 콘셉트를 밀어붙인 채리나가 있었지만 심은진은 섹시함과 소년미를 동시에 소화할 수 있어 남성팬들에게도 호평을 받은 신인 캐릭터였다.
SES 핑클과 베이비복스는 한 앨범에 2곡의 1위 곡을 가진 유일한 걸그룹이었고, 이는 2세대 걸그룹이 등장한 2000년대 후반까지 유효한 결과이자 시대적 성공의 일부다.
11월에는 발라드로 한 달간 짧게
Baby Vox의 유일한 발라드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