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아다다의 아버지 김초시는 섬지기의 논으로 노총각의 사위를 사들였다.
미남은 말이 20마리이므로 섬지기는 말 20마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이 수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 중급농이었다.
지금 이 수준에서 연소득 600만원을 올리기는 어렵다.
하지만 한여름 뙤약볕 아래에서 고추 따는 일을 해본 사람이라면 나라가 얼마나 넓은지 잘 안다.
마지기는 “말의 씨를 뿌리기에 충분하다”입니다.
산지인지 평지인지, 땅이 비옥한지 불모지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00평을 1마당으로 본다.
주말 농장은 보통 한 구역에 5평, 넓은 구역에 10평 정도 합니다.
1평은 6자의 정사각형으로 3.3제곱미터입니다.
칸막이 사이의 경계를 제외하면 5평은 1.5×10m 폭의 큰 능선이다.
천마디 이렇게 넓으면 서너 식구가 나물농사로 나누어 먹어도 크게 부족하지 않다.
내가 처음 주말 농장을 시작하기로 결정했을 때 아내는 즉시 두 개의 밭을 예약했습니다.
두려움 때문에 음모를 취소하지 않았다면 나는 “잔디”농사를 짓고 있었을 것입니다.
물론 감자, 들깨, 땅콩, 고구마 등 손이 많이 가지 않고 보관이 용이한 작물이라면 10평 정도 심어도 문제가 없으니 결국 어떤 식물은 표면보다 더 중요합니다.
작년 봄에는 아욱, 국화, 근대를 2줄로 심었고, 치커리와 케일을 1줄로 심었습니다.
가장 많이 먹는 상추를 대여섯 줄 심었습니다.
쑥은 잘 자라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는데 쑥보다 훨씬 잘 자라서 늘 수확하느라 분주하다.
그래도 밭이 반이나 남아서 고추는 10주, 고추, 가지, 토마토, 방울토마토는 각각 3주씩 심었습니다.
상추의 일부를 솎아내고 싹이 난 곳에 들깨를 듬성듬성 심었다.
장마철에는 농약 없이 농사를 짓기가 어렵습니다.
잘 헤쳐나갈 줄은 몰랐는데 그랬다.
고추가 먼저 피해를 입었고 가지와 고추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푸른 작물이 만족스러워서 다 뽑고 들깨 5~6개와 늦게 심은 고구마 4개를 남겼습니다.
가을재배를 위해 상추를 새로 심고 배추, 열무, 갓, 쪽파를 따로 심었다.
총각무는 잘 자랐는데 무가 너무 못생겼다.
가드도 그랬다.
양배추는 겨울까지 제대로 채워지지 않았고 잎이 질겼습니다.
지금까지 그걸로 김치를 만들어 먹어봤지만 먹어본 사람들은 입에서 좀 텁텁해도 맛이 아주 고소하다고 합니다.
1년 치 땅값 7만5000원에 종자·모종·유기질비료 한 포대 값까지 포함해 부잣집이 되기 위해 쓴 돈이 10만원도 안 된다.
이번 봄에는 무엇을 심어야 할까요? 묘목을 심기 전 흙이 비어서 감자를 먼저 심을 예정입니다.
지난 1년 동안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상추 한 줄과 다른 야채 한 줄을 심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새롭게 노출된 자리에 심고 싶은 것은 수세미입니다.
로션으로 쓰던 수세미즙을 올해 먹어보려고 합니다.
해바라기를 심고 그들이 정말로 태양을 따르는지 확인하십시오. 그리고 지난 가을에 모은 나팔꽃 씨를 심어서 올해는 덩굴이 해바라기를 어떤 방식으로 엮는지 확인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