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노동법률사무소는 창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모든 상담은 무료입니다(055-266-1478). 산업재해 전문 노무사, 산업재해 전문 변호사가 친절하게 상담해드립니다!
호영아너스노무법인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영동로 87, 302호
산재신청을 노무사에게 해야 하나요?
업무상 재해 신청을 문의하러 오시는 분들 중, 간혹 공인중개사의 도움 없이 직접 신청해도 업무상 재해 증명서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직접 신청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근로자임을 분명히 하고, 직장에서 넘어지거나 끼이거나 질식하는 등의 “사고”로 다치거나 사망한 경우에는 100%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므로 노동 변호사를 고용하기 위해 돈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노동 대리인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산재”재해”와 산재”질병”으로 구분해야 할까요 산재”재해”라면 노무사나 변호사와 상의하세요.
근로자 여부가 불명확한 경우 : 사업주, 프리랜서, 특수근로자로서 산업재해법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인지 여부가 불명확하거나 교통법규를 위반한 경우 신호등. 회사의 통제·관리 여부가 명확하지 아니한 경우 : 출장 또는 식사 장소, 출장 또는 식사 장소에서 음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조언을 구하다.
그 이유는 “질병”이 업무와 관련된 것으로 입증되어야 하며, 이를 입증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특히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질병이 가장 흔한 경우, 근무시간이나 스트레스를 정당화하기 어려운 경우(질병과용), 업무에 대한 신체적 부담을 정당화하기 어려운 경우(근골격계질환) , 감염경로가 불확실한 상태(전염병)인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첫 단추를 제대로 잡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만, 업무관련성이 분명한 증거가 있고 과거 병력이 없는 경우에는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직접 신청 시에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제작한 “업무상 질병 판정기준”을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근골격계 직업병 판정기준▼ 첨부파일 근골격계질환_업무_질환_조사_및_판단_가이드라인(2021년 1월 13일 개정).pdf 파일첨부 뇌혈관질환 및 심장질환_업무_질환_조사_및_판단_가이드라인(2021.01.13._수정_가이드라인).pdf 파일을 네이버 마이박스에 다운로드하여 마이박스에 저장 13년 경력의 산업재해 전문 노무사가 상담해드립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루트가 호출되며, 더 풍부한 루트 예시를 보시려면 아래 사진을 클릭해주세요.